dd
sudo dd if=<input stream> of=<out stream> bs=<size> count=<repeat#>
모든 캐시/메모리의 상황을 디스크에 기록해야 하는 경우,
sudo dd if=<input> of=<output> bs=1M && sync
sync 명령어 수행(blocking으로 통해 안전하게 작성)
sync
파일시스템 버퍼를 관리자가 직접 flush함(하드디스크 동기화 명령어)
free
free
free -h
현재 사용중인 메모리 사용량 및 swap 정보
init|  0 |  종료모드 |  하드디스크 동기화 후 정상종료 | 
|  1 |  단일 사용자 모드 | 시스템 복구모드 | 
|  2 |  다중 사용자 CLI |  NFS/X-window를 제외한 부팅 | 
|  3 |  다중 사용자 CLI | X-window를 제외한 부팅 | 
|  4 |  X |  평소에는 사용하지 않지만 사용자 정의가 가능한 level | 
|  5 |  다중 사용자 GUI |  X-window환경으로 모든 서비스 포함 | 
|  6 |  재부팅 모드 | 시스템 재시작 | 
 df파일 시스템의 '블록'에 대한 정보
lsblk(list block)는 block device 드라이버에 질의해서 그 장치에 할당된 용량을 출력
df(disk free) file system 드라이버에 질의해서 사용 가능한 남은(free) 용량을 출력
 fsck: 파일 시스템 체크mount 된 파일 시스템에 대해 fsck 수행할 시 runtime 불일치로 파일 손상 가능
e2fsck: 리눅스의 확장 파일 시스템 ext2, ext3, ext4를 검사
-f    강제 검사
-b <super block num>    수퍼블록으로 지정된 백업 슈퍼블로을 사용
-y    모든 질문에 yes로 대답
-a    파일 시스템 검사에서 문제 발견시 자동으로 복구
-n    아무 수정없이 파일 시스템 체크
badblocks: 배드 블록 검사
dumpe2fs: 파일 시스템 정보 출력(슈퍼 블록도 출력함)
 about inodeinode는 해당 파일의 이름을 제외한 모든 파일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음
ls -i    파일의 indoe 조회
stat    <filename>
 device 파일 출력/찾기cat /proc/devices:    C, B device 구분
udevadm:    device file의 sysfs
blkid -o list    디바이스 파일/ 파일 시스템/ 라벨/ 마운트 포인트
lsblk    디바이스파일/ Major:Minor/ RM/ Size/ Type/ 마운트 포인트
lsusb    usb버스/ usb디바이스번호/